인슐린에 대해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인슐린의 의미부터 작용 원리, 다양한 종류와 수치 해석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인슐린 뜻과 기능 완전 해부
인슐린은 단순한 호르몬이 아닙니다. 우리 몸의 대사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조절자입니다.
인슐린이란 무엇인가요?
인슐린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식사 후 혈당이 오르면 인슐린이 분비되어 포도당을 세포로 운반하고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저장하게 돕습니다.
인슐린 역할은 무엇인가요?
- 혈당 조절: 인슐린은 혈당을 세포 내로 운반해 에너지로 사용되게 합니다.
- 에너지 저장: 남은 포도당은 간과 근육에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되며, 일부는 지방으로 전환됩니다.
- 단백질 및 지방 대사 조절: 인슐린은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지방 분해를 억제하여 체내 균형을 유지합니다.
먹는 인슐린, 현실이 될까?
주사로만 가능한 인슐린, 이제는 경구 복용도 가능할까요?
먹는 인슐린이란?
전통적인 인슐린 투여 방식은 주사였지만, 최근에는 위산에 파괴되지 않고 장에서 흡수될 수 있는 먹는 인슐린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일부 경구용 인슐린 제제는 임상시험 단계에 있으며, 당뇨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종류 총정리
당뇨병 환자라면 꼭 알아야 할 다양한 인슐린 종류! 작용 시간에 따라 구분됩니다.
인슐린의 분류 기준
인슐린은 작용 시작 시간, 최고 효과 시간, 지속 시간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초속효성 인슐린
- 작용 시작: 10~15분
- 예: 리스프로, 아스파르트, 글루리진
- 용도: 식사 직전 또는 직후 투여
속효성 인슐린
- 작용 시작: 30분
- 예: 휴물린 R, 노보린 R
- 용도: 식사 30분 전 투여
중간형 인슐린
- 작용 지속: 약 12~18시간
- 예: 휴물린 N, 노보린 N
- 용도: 기저 인슐린 보충
장시간형 인슐린
- 작용 지속: 24시간 이상
- 예: 글라르진, 디터머, 데글루덱
- 용도: 하루 1회 기저 인슐린
혼합형 인슐린
- 속효성과 중간형 혼합
- 식후 및 기저 혈당 조절에 동시에 사용
인슐린 수치로 보는 건강 상태
혈당이 정상이더라도 인슐린 수치는 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공복 인슐린 수치
정상 기준은 일반적으로 10 μU/mL 이하이며, 이 수치가 높을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식후 인슐린 수치
식사 후 혈당 상승에 따라 인슐린도 자연스럽게 증가하며, 이후 점차 감소해 공복 수준으로 회복되어야 정상입니다.
OGTT 검사에서의 인슐린 수치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를 통해 인슐린 반응 패턴을 살펴볼 수 있으며, 당뇨 전단계나 인슐린 저항성 진단에 활용됩니다.
이 글을 통해 인슐린에 대한 개념부터 실제 임상 활용까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인슐린은 단순한 호르몬이 아닌, 인체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생리적 조절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