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유방 또는 가슴에 통증이 생기면 누구나 당황하고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방 통증은 여성의 약 70% 이상이 경험할 만큼 흔한 증상이지만, 원인을 잘 모르면 걱정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오른쪽 유방 통증 원인
오른쪽 유방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상당수는 비교적 가벼운 경우가 많습니다.
생리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생리 주기와 관련된 호르몬 변화입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변동하면서 유방 조직이 민감해지고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양쪽 모두가 아플 수 있지만 오른쪽만 유독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섬유낭종성 변화
섬유낭종성 유방은 단단한 섬유 조직과 액체가 찬 낭종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로, 눌리거나 만졌을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부위에만 강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오른쪽 유방에 집중되기도 합니다.
외상 및 압박
무의식 중 유방을 부딪혔거나 꽉 조이는 속옷, 브라의 와이어 등이 원인이 되어 일시적인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활동량이 많았던 날이나 자는 동안 압박을 받았을 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른쪽 유방 위 통증
유방의 통증 위치는 통증의 원인을 유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유방 상부의 통증은 유방 자체 외의 구조물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늑골 또는 흉부 근육 관련 통증
오른쪽 유방 윗부분은 실제로는 늑골, 흉골, 흉부 근육과 가까워 이러한 부위의 염좌나 염증, 혹은 신경 압박이 유방 통증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진다면 근골격계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폐 질환과의 연관 가능성
드물게 폐렴, 흉막염, 폐색전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흉부의 통증으로 이어져 유방 윗부분 통증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각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오른쪽 가슴 통증 의심되는 병
가슴 통증은 유방 외에도 다양한 장기와 구조물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어, 보다 넓은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합니다.
유방 관련 질환
유선염, 유방 농양, 섬유낭종성 변화 등은 모두 유방 부위의 직접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통증 외에도 열감, 발적, 멍울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유방암도 초기 단계에서 통증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흉벽 및 늑간신경 질환
가슴을 둘러싸고 있는 늑골과 늑간 신경이 염증이나 외상으로 손상되면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납니다. 특히 갑작스럽게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화되거나 움직일 때 불편함이 크다면 근골격계 문제일 수 있습니다.
소화기 질환
간, 담낭, 위장 등 소화기 관련 장기 문제도 오른쪽 가슴 부위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담석증, 위식도역류 등이 해당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며, 유방 아래쪽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
일반적으로 심장 문제는 왼쪽 가슴 통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이 드물게 오른쪽 또는 중앙부 흉통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갑작스러운 압박감, 숨참, 식은땀 등이 동반된다면 응급 상황일 수 있습니다.
오른쪽 유방 아래 통증
유방 아래쪽에 집중되는 통증은 유방 자체보다는 인접한 근육, 신경, 또는 복부 장기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늑간 신경통
늑골 사이를 지나는 신경에 염증이나 자극이 가해지면 유방 아래 부위에 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누워 있을 때나 특정 자세에서 더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
간 또는 담낭 문제
간염, 담낭염, 담석 등은 오른쪽 윗배에서 시작된 통증이 흉부, 유방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 후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소화불량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근육통 및 자세 불균형
잘못된 자세로 인한 흉부 또는 상복부 근육에 과부하가 걸리면 유방 아래쪽이 아플 수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 앉아 있는 학생, 사무직 종사자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오른쪽 유방 또는 가슴 통증은 많은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대부분은 큰 문제가 아니지만, 통증이 반복되거나 비정상적인 증상과 동반될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멍울, 발적, 피부 변화, 유두 분비물 등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